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주가 예측 기법 엘리어트 파동 편

by 피플라 2023. 4. 1.
반응형

엘리어트 파동(Elliott Wave) 이론은 주식, 채권, 외환 등의 금융시장에서 발생하는 가격변동을 파악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이론은 상승과 하락의 움직임을 순환패턴으로 예측하는 방법이며, 이를 순환 원리로 파악하여 주가의 흐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엘리어트 파동
썸네일

 

엘리어트 파동이란 무엇인가요?

엘리어트 파동은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추세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형태의 움직임을 말합니다. 이는 1930년대 미국의 엘리어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에서는 5 파동을, 하락하는 추세에서는 3 파동을 형성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주가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주가는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파동의 길이는 모두 다르며 1번파는 0% ~ 38% 2번 파는 38% ~ 61% 3번 파는 61% ~ 76% 4번 하는 76% ~ 89% 5번파는 89% ~ 100% 의 비율로 진행된 말합니다.. 또한 모든 파동은 이전 파동과 같은 길이 혹은 작은 크기로 반복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엘리엇 파동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요?

엘리어트 파동은 5 파동과 3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5 파동은 상승하는 추세에서 나타나며, 3 파동은 하락하는 추세에서 나타납니다. 5 파동은 1, 2, 3, 4, 5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3 파동은 A, B, C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1, 3, 5의 움직임은 상승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며, 2, 4, A, C의 움직임은 하락하는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B파동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상승추세에서의 엘리어트 파동

상승추세에서는 주식가격이 오르면서 하락 웨이브가 나타납니다. 하지만 이러한 하락 웨이브는 전체 상승추세의 일부분이며, 전체 상승추세의 형성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이때, 상승 웨이브는 하락 웨이브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지속되며, 전체적으로는 상승 추세가 유지됩니다.

 

상승추세에서 엘리어트 파동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승 웨이브가 나타나는 구간에서 매수 포지션을 취합니다. 하락 웨이브가 나타날 때마다 손실을 최소화하고, 적극적인 포지션 관리를 통해 상승 추세를 타고 갑니다.

 

전체적인 상승 추세가 끝나면 이를 판단하고 매도 포지션을 취하여 수익을 실현합니다. 이처럼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이용하여 상승 추세에서 투자하는 것은 시장 전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많은 경험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초보 투자자는 이러한 전문적인 분석 기술을 충분히 습득한 후에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하락추세에서의 엘이러트 파동

하락추세에서 엘리어트 파동은 상승추세와는 반대로 진행됩니다. 하락하는 시장에서는 엘리어트 파동이 5파와 3파로 구성됩니다. 먼저, 5파의 경우, 상승추세와는 반대로 하락하면서 이루어지는 파동입니다.

 

첫 번째 1파에서는 하락추세가 시작되고, 2파에서는 이전 상승추세에서의 최고점을 돌파하여 하락이 이어집니다. 3파에서는 다시 상승이 일어나지만 이전의 최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다시 4파에서 하락이 이어집니다. 마지막 5파에서는 최저점을 기록하며 하락이 끝납니다.

 

그리고 3파의 경우, 하락추세가 지속될 때 5파의 방향과는 반대로 진행됩니다. 1파에서는 상승하던 추세가 끝나고 하락이 시작되며, 2파에서는 다시 상승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3파에서는 이전 상승추세의 최저점을 돌파하여 하락이 이어집니다. 이어지는 4파에서는 다시 상승이 일어나지만, 최근 하락의 최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5파에서는 하락이 이어지며 최저점을 기록합니다.

 

하락추세에서 엘리어트 파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하락세의 전체적인 추세를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하락추세에서는 전체적으로 5파에서의 하락이 더 강력하며, 3파에서의 상승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랄프 넬슨 엘리어트(Ralph Nelson Elliott)*

엘리어트(Elliott)는 미국의 금융 작가 랄프 넬슨 엘리어트(Ralph Nelson Elliott)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용어로, 엘리어트 파동(Elliott Wave)이란 주식 등 금융 시장에서 발생하는 가격 흐름의 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엘리어트는 1930년대에 이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으로는 자연법칙과 피보나치수열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발생하는 가격 흐름의 패턴을 분석하여 다양한 트렌드와 반전 신호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