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주식 용어 정리 1탄 - 가격제한폭, 동시호가, 공매도 공매수 등

by 피플라 2023. 3. 30.
반응형

주식 용어 정리 1탄, 주식 시장에는 다양한 전문 용어들이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용어들을 알지 못하면 투자하기 힘들겠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용어정리 및 개념과 더불어 자주 나오는 주제인 가격제한폭, 동시호가, 공매도, 스프레드에 대해 알아볼게요.

가격제한폭이란 무엇인가요?

주식 용어 정리 첫 번째, 가격제한폭이란 주가가 하루동안 변동할 수 있는 최대 폭을 의미하며, 전일 종가 대비 ±30% 범위 내에서 결정됩니다. 즉, 전날 종가기준으로 상한가나 하한가를 설정하게 되는데요, 이 상한가는 +30%, 하한가는 -30%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당일 시초가가 10,000원이라면 9,700원 이상 11,100원 이하로만 움직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동시호가란 무엇인가요?

주식 용어 정리 두번째, 동시호가란 장 개시 전 8시~9시 사이 그리고 장 마감 후 2시 50분~3시 사이에 접수되는 주문을 말합니다. 이때 매수주문과 매도주문이 같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들어온 주문 중 체결될만한 수량만을 모아서 한꺼번에 거래를 체결시키는 방식을 동시호가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종목이 현재 13,000원이고 시가가 12,000원으로 형성된다면 1,000원 차이이기 때문에 시장가로 빠르게 매매체결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반대로 B라는 종목이 현재 15,000원이고 시가가 14,000원으로 형성된다면 500원 차이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높은 가격에 사려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호가창이 많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공매도란 무엇인가요?

주식 용어 정리 세번째, 공매도는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을 뜻합니다. 공매도는 주로 하락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 이용되는데요, 예시를 들면 지금 당장 돈이 없어도 일단 빌려서 판 후 나중에 주가가 떨어지면 싼값에 다시 사서 갚으면 되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에게는 허용되지 않고 기관 또는 외국인에게만 허용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증시 상황과는 맞지 않는 제도이기도 합니다.

 

공매수는 뭔가요?

주식 용어 정리 네번째, 공매수는 반대로 가진 주식을 비싸게 팔기 위해 사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내가 갖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겁니다. 이를테면 A라는 사람이 B에게 10만원을 주고 삼성전자 한 주를 삽니다. 그러면 B는 자신이 산 삼성전자를 C에게 11만원에 팔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그냥 포기해야 할까요? 아닙니다. 이럴 때 증권사로부터 대출을 받아서라도 팔아야겠죠? 이렇게 해서 생긴 빚을 상환하기 위해 다시 다른 사람에게 팔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공매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허매수, 허매도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 건가요?

주식 용어 정리 다섯 번째, 허매수란 가짜로 사려는 의도를 보이는 매매행위를 말하는데요. 대표적으로 거래량 없이 호가창에만 많은 물량을 쌓아두는 경우나 상한가임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매수물량을 걸어둔 채 취소하는 등의 행위들이 모두 허매수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허매도는 허위로 매도하려는 의도로 시세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대량의 매물을 내놓는 걸 뜻합니다. 주로 세력들이 이러한 수법을 이용하는데요. 특히 최근 카카오게임즈 상장당시 공모가 두배 가격이었던 62000원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던 상황에서 갑자기 5분 만에 하한가 근처까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게 바로 허매도였다고 하네요.

 

스프레드란 무엇인가요?

주식 용어 정리 여섯 번째, 스프레드는 선물거래에서 쓰이는 용어로써 만기까지의 기간차이만큼 발생하는 가격차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한달 짜리 선물계약과 일년 짜리 선물계약의 가격차이를 말하는 것이죠. 따라서 스프레드는 미래가치(현재)와 현재가치(미래)의 차이이므로 현물과의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주식용어 중에서도 여러 가지 작전방법 중 일부인 공매도, 공매수, 허매수, 허매도 및 스프레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내용 참고하셔서 건전한 투자생활 이어나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